
메타버스가 정확하게 뭔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, 메타버스 하겠다고 뛰어드는 회사들은 계속 늘고 있다. 페이스북에서 이름이 바뀐 메타 등 거물급 회사들도 앞다퉈 메타버스에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.
이들이 어떤 메타버스를 내놓을지는 잘 모르겠지만 지금과는 다른 디지털 세계를 경험할 수 있게 하겠다는 포부는 대단해 보인다.
현실과 가상세계가 결합된 메타버스라는 이름으로 체감할 수 있는 새로운 디지털 경험을 줄 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일 것이다. 하지만 사용자들에 의해 선택을 받은 메타버스는 있다고 해도 그렇게 많지 않을 것이다.
메타버스를 다룬 글을 종종 쓰는데, 정말 다양한 출신 성분의 회사들이 메타버스 하겠다고 뛰어드는 것 같다. 도전장을 던진 회사들 출신 성분을 보면 크게 인터넷 서비스와 게임 기반 프로젝트들로 구분된다. 플랫폼 구조는 중앙화된 방식이냐, 암호화폐 프로젝트들이 강조하는 탈중앙화 진영으로 나눌 수 있다.
성격이 다른 회사들이 저마다 메타버스 잘할 수 있다고 하는 걸 보면 메타버스는 인터넷, 게임, 암호화폐로서의 속성을 모두 갖고 있는거 같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.
여기서 묻게 된다. 메타버스를 어떤 출신 성분의 회사들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일까?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시대, 사업간 경계가 점점 파괴되는 상황에서, 특정 분야가 메타버스에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비현실적일 수 있다. 그럼에도 지금과는 다른 디지털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고 하는 메타버스에 가장 가까운 DNA를 가진 분야가 있지 않겠느냐는 생각은 여전하다.
개인적으로 주목하는 흐름은 게임과 인터넷 업체 중 누가 초반 레이스를 주도하겠느냐는 것이다.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면 나는 상대적으로 게임 업체들이 메타버스를 잘할 DNA라고 보는 쪽이다.
사용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다른 경험을 주는 메타버스는 하나의 서비스라기 보다는 복잡한 세계에 가까울 것이란 판단에서다.
포털과 MMORPG를 예로 들면, 포털은 다양한 서비스들이 있지만 개별 서비스 간 상호 의존성은 그렇게 크지 않다. 이메일은 이메일이고 메신저는 메신저다. 메신저 바꾼다고 해서 이메일까지 건드려야 할 필요는 크지 않다. 하지만 MMORPG는 다르다. MMORPG는 하나의 세계고 그 세계는 다양한 인과 관계들로 돼 있다. MMORPD에선 어느 부분에 손을 내면 다른 곳도 손을 봐야 할 수 있다. 서사가 강한 게임일수록 더욱 그럴 것이다.
사용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뭔가 다른 디지털 경험을 주는 메타버스가 어떤 모습일지는 두고 봐야겠지만 메타버스에 세계라는 의미도 담겨 있음을 감안하면 스토리, 서사가 나름 비중 있는 역할을 할 것 같다. 이미 있는 2D 서비스를 3D로 바꾸고 아바타를 제공한다는 것만으로, 새로운 경험이 가능할지는 잘 모르겠다.
서사는 약하고, 그래픽이 우수한 것보다는 거꾸로인 메타버스가 사람들에게 뭔가 다른 디지털 경험을 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.
여기저기서 울려 퍼지는 메타버스 구호를 들으면서, 디지털 세상에서 서사가 갖는 중량감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. 디지털 하면 효율이 넘버원 키워드였는데, 메타버스에선 좀 달라지지 않을는지…. 한국 게임들은 해외 기업들에 비해 서사가 약하다는 얘기를 좀 들었는데, 지금은 어느 정도인지도 궁금하다.